정의
편두통은 한쪽으로 치우치는 일측성, 박동성 통증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고, 구역이나 구토 및 눈부심 등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통을 말합니다.
국내의 조사에 의하면 편두통의 유병률은 6.5%로 추산되며, 여자에서 남자에 비해 약 3배 정도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편두통은 중등도 이상의 강도를 보이기 때문에 편두통 환자의 약 80% 정도가 두통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고 합니다.
원인
편두통이 발생하는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뇌의 기능적인 변화, 신경전달물질 농도의 변화 및 삼차신경과 그 주변 혈관의 염증반응을 중요한 편두통의 발병기전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새로운 뇌신경 영상기법들에 의해 편두통이 뇌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즉 편두통 환자는 ‘민감한 뇌, 민감한 신경, 민감한 혈관’을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상태에서 유발자극을 받게 되면 편두통 발작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삼차신경에서 주변의 혈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신경 섬유가 통증에 더욱 민감하게 되고 혈관을 확장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는 세로토닌, 도파민, 글루타메이트와 같은 신경전달물질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유발인자
환경 |
음식 |
약물 |
-스트레스, 감정
-저혈당
-수면양상의 변경
-생리, 운동, 음주
-CO(carbon monoxide) |
-MSG
-티라민(예: 적포도주, 발효치즈)
-아질산염(예: 가공 육류제품)
-페네틸아민(예: 초콜릿, 치즈)
-아스파탐(예: 인공감미료, diet soda)
-카페인 과다 사용이나 사용 중지 |
-에르고타민, 진통제 과다사용
-에스트로겐(예:경구 피임제)
-코카인
-니트로글리세린 |
증상
환자마다 빈도와 강도가 다르며, 증상도 여러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머리의 한쪽에만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고 머리 전체에 통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두통의 양상은 맥박이 느껴지는 것 같은 박동성으로, ‘욱신욱신’ 혹은 ‘지끈지끈’ 합니다. 빛이나 소리에 과도하게 예민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은 주로 4-7시간 정도 지속되고, 72시간 이상 심한 두통이 지속되는 경우 ‘편두통 지속상태’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전조증상은 편두통 환자의 약 30%에서 두통이 발생하기 전 또는 두통과 함께 나타나는 국소적인 신경학적 특징으로 대개 두통 발생 10분에서 1시간 전에 시작합니다. 증상으로는 가벼운 두통, 광시증, 시력장애, 마비 등이 있습니다.
진단
편두통의 진단은 환자의 두통에 관한 병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기본적으로 의사의 임상적인 문진과 진찰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다음과 같은 진단 기준이 국제두통학회에서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IHS)의 편두통 진단기준-
전조 증상이 없는 편두통의 진단 기준 |
전조 증상이 있는 편두통의 진단 기준 |
1) 4~72시간 지속되는 두통.
2) 두통은 다음 중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특징을 가짐
① 편측 발생
② 박동성
③ 중등 정도에서 심한 정도의 두통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거나 어렵게 함)
④ 계단을 걸을 때나 유사한 일상적인 신체 활동에 의하여 심해짐
3) 두통이 있을 때 다음 중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특징을 가짐
① 구역 그리고/또는 구토
② 빛 공포증과 소리 공포증
③ 다른 원인 질환이 없음. |
1) 최소 2번의 두통을 경험.
2) 전형적인 전조 증상, 편마비 편두통 전조증상, 기본적인 전조증상의 요건을 충족한다.
3) 다른 기질적인 질환에 의한 증상이 아닌 것. |
약물치료
효과적인 두통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급성기 약물 요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키면서 두통의 빈도와 강도, 지속시간을 줄이기 위한 예방요법을 병행합니다. 편두통이 발생하면 약물 복용을 통하여 최대한 빨리 두통과 동반 증상들을 멈추거나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즉시 급성기 약물을 투여할수록 더 효과적입니다.
1) 급성기 약물치료
편두통 발작이 있을 때 신속하게 완화시키는 약물을 투여합니다. 편두통이 매월 2∼3회 정도로 자주 있지 않는 경우에 적당한 치료법 입니다. 그러나 편두통의 빈도를 줄이지는 못하며 두통이 발생하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 투여한 경우에는 그 효과가 떨어집니다.
• 편두통에 특이적으로 사용하는 급성기 약물
수마트립탄(sumatriptan), 졸미트립탄(zolmitriptan), 나라트립탄(naratriptan), 에르고타민(ergotamine) 등이 있습니다. 부작용으로 가슴 또는 흉부의 압박감, 저림, 이상한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을 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허혈성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사용시 주의해야 합니다.
• NSAIDs 및 진통제
아스피린(aspirin), 디클로페낙(diclofenac),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록센(naproxen),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등이 사용 됩니다. 부작용으로 설사, 변비, 오심, 구토, 위장출혈, 위궤양, 속쓰림, 피부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항구토제
두통과 더불어 동반되는 오심, 구토를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편두통 약물 투여시 발생할 수 있는 구역 증상의 부작용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또한 위장관 운동을 촉진하여 약물의 흡수를 향상시킵니다.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돔페리돈(domperidone)이 사용됩니다.
2) 예방치료
편두통의 예방치료는 편두통의 발작 기간과 횟수를 감소시키고 통증의 강도를 약화시키며 급성기 약물에 대한 반응을 개선하여 편두통에 의한 장애를 경감시키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치료법입니다.
• 베타차단제
편두통 예방치료를 위해 흔하게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졸음, 피로, 기면, 수면장애, 저혈압, 서맥, 발기부전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베타차단제는 고혈압을 동반하는 편두통 환자에서 좋은 선택 약제가 될 수 있으나, 천식, 만성 폐색성폐질환 등을 동반한 환자에서는 사용이 금지되며, 우울증을 동반한 편두통 환자는 주의하여 복용하여야 합니다.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메토프롤롤(metoprolol), 아테놀롤(atenolol), 나돌롤(nadolol), 티몰롤(timolol)이 사용됩니다.
• 항전간제
항전간제 중 발프로산(valproate)와 토피라메이트(topiramate)는 편두통 예방치료의 첫번째 치료제로 고려됩니다. 두 약물 모두 항경련 목적으로 쓰는 용량보다 적은 용량에서 편두통 예방 효과를 나타냅니다. 가바펜틴(gabapentin), 라모트리진(lamotrigine)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발프로산의 흔한 부작용으로 구역, 구토, 위장관 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 체중증가, 탈모, 떨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토피라메이트 복용시 손발저린감, 집중력저하, 피로, 식욕감소, 구역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고 장기투여시 체중감소와 신결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삼환계항우울제와 그 외 항우울제
편두통 예방을 목적으로 아미트리프틸린(amitriptyline)을 우울증 치료 용량보다 적은 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 변비, 어지러움, 빈맥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플루옥세틴(fluoxetine), 벤라팍신(venlafaxine)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칼슘통로차단제와 그 외 항고혈압제
베타차단제, 발프로산, 토피라메이트, 아미트리프틸린을 사용하여 실패하였거나 해당 약품에 금기일 때 베라파밀(verapamil)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흔한 부작용으로 서맥,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플루나리진(flunarizine), 암로디핀(amlodipine)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단기 요법은 월경편두통, 조짐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편두통, 또는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와 같이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생기는 편두통 발작 등을 예방하는데 나프록센(naproxen), 케토프로펜(ketoprofen), 메페남산(mefenam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한국임상약학회 약물치료학 제3개정
2. 보건복지부 국가건강정보포털
3. 2017년 대한신경과학회 추계 전공의 통합교육 ‘편두통 예방 치료의 원칙’
4. 각 제품 허가사항 정보